본문 바로가기

정보 요정/생활정보

조개, 얼마나 알고 드시나요? 조개의 모든 것 (제철/효능/보관법/부작용)

조개의 제철

조개의 제철은 언제일까요?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

.

.

정답은! 

1,2,3,4번 모두!

조개는 연중 계속 나는 고마운 식재료에요.


가장 익숙한 조개의 대표, 바지락

다만 종류가 워낙 많다보니,

꼬막 제철은 11월~3월 

바지락 제철은 2월~4월,

전복 제철은 8월~10월

굴 제철은 9월~12월,

홍합 제철은 10월~12월

가리비 제철은 11월~12월

등등! 

 

한여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조개류가 

돌아가면서 제철이에요 :) 

 

어패류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다양한 조개 종류를 활용한 요리를

일년 내내 즐기기도 하는데요, 

 

조개의 효능을 알아볼까요?


'구이'로 인기만점인 가리비 

조개의 효능 

조개는 칼로리가 낮고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철분, 아연, 비타민B12, 마그네슘 등의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요. 

 

조개에 있는 이런 미네랄들은 소량만 섭취해도

우리 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니 

제철 조개를 잘 챙겨 먹으면 건강에 좋아요!

 

또 조개의 지방은

대부분 오메가3 지방산 형태로 되어있어

뇌와 심장 건강에 좋다고 해요. 

 

조개는 쪄먹거나 구워 먹을 때 

가장 영양가가 높다고 하는데요, 


다이어트 효과

칼로리 대비 담백질 함량이 높고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고 했죠?

체중 감량을 위해 먹을 수 있는

고단백 식품! 

 

심장 건강

오메가3는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정제된 오메가3 영양제를 먹는 것 보다

자연 식물에서 섭취하는 오메가3가 훨씬 좋겠죠? 

오메가3 지방산과 비타민B12 섭취로 

심장 질환 예방하기!

 

간 건강

비타민B12는 심장 건강 뿐 아니라

간 기능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숙취해소 및 평소 간건강을 유지하게 해줘요.

 

면역력 향상과 피로회복

요즘 면역력 챙겼냐는 광고가 많이 나오는데요 ㅎㅎ

일부 조개(굴, 조개, 홍합 등)에는

면역을 촉진하는 아연이 들어있어서 

전반적인 면역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해요.  


조개의 부작용

조개류는 풍부한 영양소를 가지고 있지만 

먹을 때 주의할 점이 많기도 해요. 

 

수은이나 중금속 등으로 오염된 조개를 섭취할 경우, 

이런 화학물이 몸에 축적되면서 

장기를 손상시킬 수 있어요. 

큰 어류보다는 덜 위험하겠지만 

먹는 양을 적절히 조정해서 

너무 자주, 많은 양을 먹지는 않기!

 

또, 조개류는 알레르기 있는 사람이 많아요. 

조개 알레르기의 반응 증상은

구토와 설사, 복통, 인후통, 혀나 입술이 부어오름,

두드러기, 호흡 곤란 등이 있어요. 

 조개류를 먹었는데 이런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복용을 중단해야되겠죠?

어렸을땐 없었는데 성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유의하도록 해요.


구입요령

우리가 자주 먹는 조개들의 구입 요령!

바지락은 껍질이 깨지지 않고 윤기가 나는 것, 

홍합은 살이 통통하고 윤기가 나며 비린내가 나지 않는 것,

(껍질을 벗겼을 때 살에 붉은 빛 도는 것)

굴은 둥그스름하고 통통하게 부풀어 있는 것을 

고르면 좋아요. 


보관법

조개는 생물이기 때문에 냉장보관은 

오래 할 수 없겠죠?

4-5일까지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시중에 파는 조개는 언제 채취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웬만하면 1-2일안에 냉장보관 하면서

다 먹는 게 가장 좋아요. 

(!) 저는 외가에서 할머니가 갓 잡아 올려주는

바지락을 냉장고에 3-4일 두고도 먹었는데 

대부분은 사서 드시고, 또 냉동실에 바로 얼리기 때문에 

냉장보관은 최대한 빨리! 

 


조개탕, 

바지락술찜,

바지락칼국수 등 

다양한 조개 요리 레시피는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